파산·회생 > 법인회생 사건

1. 법인회생의 기본 개념


〇 목적: 법인의 채무를 조정하고, 경영을 정상화하여 경제적 재기를 도모하는 것.
〇 적용 대상: 주식회사, 유한회사, 합명회사 등 법인격을 가진 기업.
〇 주요 특징:
• 채무의 일부를 면제받을 수 있음.
• 경영권을 유지할 수 있음.
• 회생 계획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 채무를 상환.


2. 법인회생 신청 절차


1) 신청 자격
〇 채무 규모: 법인이 채무를 감당할 수 없는 상태.
〇 회생 가능성: 법인이 경제적으로 재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야 함.

2) 신청 절차
〇 법원 접수: 관할 법원에 법인회생 신청서를 제출.
〇 필수 서류:
• 재산 목록 (부동산, 차량, 예금, 보험 등).
• 채무 명세서 (채권자 목록, 채무 금액 등).
• 재무제표 (대차대조표, 손익계산서 등).
• 경영 계획서.
• 기타 법원에서 요구하는 서류.


3. 법원의 심리 및 회생 계획 수립


1) 회생 절차 개시 결정
〇 법원은 법인의 재정 상태와 회생 가능성을 검토한 후 회생 절차 개시를 결정.
〇 회생 절차가 개시되면, 채권자들은 법인에 대한 소송이나 강제집행을 중단해야 함.

2) 관리인 지정
〇 법원은 회생 절차를 관리할 관리인을 지정.
〇 관리인의 역할:
• 법인의 재산과 경영을 관리.
• 채권자 회의를 주관.
• 회생 계획 초안을 작성.

3) 채권자 회의 소집
〇 법원은 채권자 회의를 소집하여 법인의 회생 계획을 검토하고 동의를 받음.
〇 채권자 회의에서 채권자들은 회생 계획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투표를 통해 동의 여부를 결정.

4) 회생 계획 수립
〇 관리인은 법인의 재정 상태와 경영 계획을 바탕으로 회생 계획 초안을 작성.
〇 회생 계획에는 다음 내용이 포함됨:
• 변제 기간 (일반적으로 3~5년).
• 월별 변제 금액.
• 채권자별 변제 비율.
• 회생 계획은 채권자 회의에서 통과된 후 법원의 승인을 받아 확정.


4. 회생 계획 실행


1) 회생 계획 실행
〇 법인은 확정된 회생 계획에 따라 채무를 상환하고 경영을 정상화.
〇 변제금은 관리인을 통해 채권자에게 분배됨.

2) 법원의 감독
〇 법원은 회생 계획이 제대로 실행되는지 감독.
〇 법인이 회생 계획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, 법원은 회생 절차를 취소할 수 있음.


5. 회생 절차 종료


1) 회생 절차 종료 결정
〇 회생 계획이 완료되면, 법원은 회생 절차 종료를 결정.
〇 회생 절차 종료 후, 법인은 남은 채무를 면제받음.

2) 경영 정상화
〇 회생 절차 종료 후, 법인은 경영을 정상화하고 경제적 재기를 꾀할 수 있음.


6. 법인회생의 장단점


〇 장점
• 채무 조정: 채무의 일부를 면제받을 수 있고, 변제 기간이 연장되어 경제적 부담이 줄어듦.
• 경영권 유지: 회생 절차 중에도 법인의 경영권은 유지될 수 있음.
• 경제적 재기: 체계적인 회생 계획을 통해 경제적 재기를 꾀할 수 있음.
〇 단점
• 신용 등급 하락: 법인회생을 신청하면 신용 등급이 하락할 수 있음.
• 변제 기간의 부담: 회생 계획에 따라 장기간에 걸쳐 변제금을 지급해야 함.
• 법적 절차의 복잡성: 법원의 심리와 채권자 회의 등 복잡한 절차가 필요.


7. 법인회생 대안


1) 워크아웃(Workout)
〇 정의: 법인과 채권자 간의 사적 합의를 통해 채무를 조정하는 방식.
〇 장점: 법원 개입 없이 신속하게 해결 가능.
〇 단점: 채권자의 동의가 필요하며, 법적 강제력이 없음.

2) 파산
〇 정의: 법인이 모든 재산을 처분하여 채무를 변제하고, 남은 채무를 면제받는 절차.
〇 장점: 채무에서 완전히 해방될 수 있음.
〇 단점: 신용 등급이 크게 하락하며, 재산을 모두 잃을 수 있음.

3) 조정
〇 정의: 법원의 조정 위원회가 법인과 채권자 간의 합의를 도출하는 절차.
〇 장점: 법원의 중재로 공정한 합의가 가능.
〇 단점: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수 있음.

8. 판례 및 문헌


페이지 상단으로 이동